목록사찰행사 (11)
부적장인

사찰은 마음의 번뇌를 정화하고 지혜를 닦는 수행공간으로서 부처님을 모신 신성하고 장엄한 성전이며 기도하고 참회하는 신앙의 귀의처입니다. 이런 신성한 대웅전 법당에 법당을 밝히고 중생의 무명(無明) 즉, 무지함을 밝히는 기도가 초공양이며 초 앞에 주소, 생년월일, 이름이 담긴 축원문을 붙여 초를 올리고, 한달 또는 100일간 길게는 1년, 3년간 촛불을 켜서 지혜의 불을 밝히는 기도를 초공양기도라고 합니다. 부처님에게 드리는 공양물은 크게 초, 향, 꽃, 쌀, 차, 과일 6가지로 나누어 육법공양이라고 하는데, 그 중 으뜸이 바로 초공양입니다. 초는 자신의 몸을 태워 세상의 어둠을 밝히고 빛을 발하니 그것은 업장이 소명되고 태양처럼 밝은 지혜가 생겨서 청정한 불성이 살아나 소원이 성취가 되는 것입니다. 보통..

소원성취 기도도량 대원정사에서는 매월 음력 초하루날 한달 동안의 수행을 돌아보고, 또 새로운 달을맞아 부처님의 가르침에 되세겨 가족의 건강과 행복을 위해 기도를 드리고 있습니다, 매월 진행되는 초하루날 법회로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업장소멸, 소원성취, 현실에 있어 매사가 원만하기를 기원하고, 부처님의 복된 가르침과 함께 삼라만상 온누리에 퍼져 세상은 안락하고 평화롭고, 각가정마다 부처님의 가피가 충만하기를 기원 드리는 법회 입니다. 신중(神衆)기도란? 법당에는 불보살님을 모시는 상단과, 신중단의 중단, 영가의 하단이 있습니다. 신중단은 아직 부처가 되지 않았기에 중단에 모시지만, 불법을 수호하고 부처님을 보좌하는 신령스런 뜻입니다. 신중기도란 화엄경에 나오신 104위 신장님께 기도하는 것입니다. 104위 ..

육법공양(六法供養) 육법공양(六法供養)이란? 전통적인 불교의식으로 부처님전에는 일반적으로 (향, 등, 차, 과일, 꽃, 쌀)공양 으로, 이 여섯 가지 공양물은 그 상징하는 바가 정법을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육법공양이라 하며, 부처님께서는 공양 가운데 으뜸은 법공양이라 하였다. 화엄경〉에서는 “법공양이란 부처님의 가르침대로 수행하는 것이며, 중생을 이롭게 하고 구제하려는 보살의 뜻을 저버리지 않는 것이며, 보리심을 잃지 않는 것”이라 하였습니다. ❶ 향(香) : 번뇌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나 자유자재한 경계에 이르는 해탈(解脫)을 상징 합니다. 향(香)은 번뇌의 자신을 태워 주위를 맑게 하며, 속박으로부터 벗어나 자유자재한 경계에 이르는 해탈을 상징하여 공양하므로 해탈향(解脫香)이라고 하며 화..

삼성각 | 산신불공 삼성각(산신기도) 금정산줄기 화지산 산하 대명백 산신 가피력으로 소원성취 기도도량 대원정사에서 건강, 애정, 재물, 사업, 시험, 매매문제로 고충받을 때 산신기도로 소구소망 원만성취 이루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고난에서 벗어나기를 기원하는 사람, 좋은 인연으로 선업을 짓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영험이 있는 도량으로 불교에서 산신(山神)을 섬기는 마음은 신토불이(身土不二)의 정신이며, 산은 많은 생명들을 감싸주고, 생명의 원동력을 제공해 주고, 생명이 태어나고, 생성(生成) 변화(變化)하여 돌아갈 가장 편안한 안식처(安息處)입니다. 산왕대성(山王大聖)께서는 가장 신통스런 영감으로 위의와 용맹의 위상으로 마근을 항복 받으며, 신령스러울 때는 재앙을 소멸하고 복덕을 내려주시는 신령함을 상..